|
접점 정격 용량의 사고 방식 : 접점의 정격은 모두 최대값으로 표기하고 있고 순시라도 과전류 , 과전압 부하를 개폐하면 접 |
점면이 아크나 줄열 ( 줄 의 열 ) 에 의해 소모나 전이를 일으켜 용착하거나 특성 열화가 현저히 발생한다 . 따라서 접 |
점정격 > = 최대 개폐 전압 이 X 최대 개폐 전류로 사용하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단 , 사용 전압이 직류 200V 이상을 넘는 경우 |
는 사용 최대 개폐 전류가 수 mA 이하로되거나 부하의 전류에 따라 동작 수명 회수가 크게 제한되므로 주의해야한다 . |
한편 , 최대 통전 전류는 접점 폐성 중에 전류를 연속 통과시킴으로써 과전 류가되었을 경우에는 접점 자계와 코일 자계와 |
의 상호 작용에 의해 채터링을 일으키거나 주울 열이 발생하여 접점이 현저히 소모 열화하거나 코일이 소손된다 . |
|
접점의 보호 회로: 접점을 거쳐 과도적 현상이있는 부하 회로나 일반적으로 직류 200V 를 넘는 부하 전압 회로를 개폐하는 |
경우는 접점의 수명을 확보하여 접점 장해를 방지하기위한 보호 회로가 필요해진다 . |
|
ㄱ ) 유도 부하의 경우 : 릴레이 , 솔레노이드 등의 유도성 부하를 끊은 경우 정상의 약 10 개 정도의 역기 전력을 발생하며 배 를 |
역기 전압이 200V 를넘으면 글로우 또는 아크 방전이 발생하여 접점이 파괴되는 원인이된다 . 그래서 역기 전압을 낮게 억 |
압하거나 방전 시간을 짧게하는 보호 회로를 삽입한다 . |
|
ㄴ ) 램프 , 히터 부하의 경우 : 램프 ( 텅스텐 ) 부하에서는 정상 전류에 도달할 때까지 약 10 배의 돌입 전류가 흐르며 , 이 전류 |
가 릴레이의 최대 개폐 전류를 넘으면 접점이 용착 현상을 일으킨다 . 용량성 부하의 경우 , 접점과 부하가 긴 테이블 등으로 |
이어져있을 때에는 선간의 부유 용량에 의한 서지 전류가 발생한다 . 보통 이러한 경우에는 접점에 가까운 곳에 서지 서프 |
레서를 삽입한다 . 일반 적으로는 10Mh 정도의 인덕터를 삽입한다 . 또한 , 콘덴서를 포함한 회로에서 접점의 개폐가 빈번한 |
경우에도 콘덴서의 충 방전 때에 돌입 전류가 흐르므로 보호 회로를 필요로한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