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릴래이 동작방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릴레이 회로도



릴레이 동작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

일명 토글 스위치가 달려있다 (?) 고 생각하시면됩니다 .

다시 말씀 드리면 릴레이 안에 , B 으로 C 가 접점이라고 설명하겠습니다 .

(-),(+) 가 RT 이라고 불리겠습니다 .

님이 습득하신 그림 파일은 몇 볼트에서 RT 가 작동 되는지는 모르겠으나 - , + 가 있는것을 보니

직류 릴레 인 것은 분명합니다 .


왼쪽의 스위치 ( 1,3,5 ) 접점과 ( 2,4,6 ) 의 접점은 동일한 역할을합니다 .

( 7,8 ) 번은 RY 인 전기적 코일 자석 이고요

다시 정리를하면

(1) = (2) = 접점

(3) = (4) = B 접점

(5) = (6) = C 나 공통 단자

주의 : 1 번과 2 번은 접점이기 때문에 테스터기로 확인해 보면 연결이되지 않습니다 .

그림처럼 보듯이 연결은 아니고 1 번과 2 번은 같은 역할을한다입니다 .


RT 에 전원을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는 C 접점과 접점이 연결됩니다 .

다시 풀이 해보면 그림과 같이 5 번과 1 번이 연결이되어 있고 6 번과 2 번이 연결되어 있죠

RT 에 전원을인가하면 릴레이는 작동이되어 접점에 떨어지고 는 B 접점에 붙습니다 .

또다시 풀이 해 보면 그림과 반데로 5 번과 3 번이 연결되고 6 번과 4 번이 연결이 되뵤

즉 , RT 전원인가하지 않으면 C 의 접점과 접점이 연결되고 RT 전원을인가하면 C 는 B 접점과 접점이 연결이됩니다 .

이와 같은 역할을 살펴 보면 접점은 일반적인 C ( 기준 , 센터 ) 역할을 하는것을 알 수가 있죠


결론 : 7 번과 8 번은 릴레이 동작을하기 위함입니다 .

다시 말씀들이면 1 ~ 6 번까지는 릴레이 스위치 역할만 할뿐 7,8 번의 전원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

그러기 때문에 ...

예로 들면은 ...

님의 그림에서 이 +12 브이 에 작동되는 릴레이를 가지고 계신다면 !

1 ~ 6 번까지의 접점은 12 에 는 영향을받지 아니하고 스위치 개념이기 때문에

220V 도 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이 지요



예 1 : ) 가 12V 로 220V 가 인 현관등 제어 해 봅시다 ~


1. 조건 : 220V 는 선이 두가닥이 있습니다 .

한가닥 선을 의 R 이라고 해두고 다른 한가닥 선을 티 로 설명하겠습니다 .


2. 조건 : +12 브이 = on 일 , 0V = OFF로

 

5 번에 의 R 을 연결합니다 .

T는 6 번에 를 연결합니다 .

그러면 220V 의 두가닥 선이 각각 5 번과 6 번에 연결 하였으므로 7 번과 8 번의 오프 면

1 번 연구 과 2 번 티 는 220V 가 출력이됩니다 .

현관 등에 들어가는 220V 단자 에서 R , T는 3 번과 를 4 번에 연결을합니다 .

7 번과 8 번이이면 3 번과 4 번이 출력이되어 단자 현관 등에 220V 의 전원을인가합니다 켜짐 .

다시 7 번과 8 번이이면 3 번과 4 번이 접점이 떨어지기 때문에 출력 220V 가 나오지 않습니다 OFF합니다 .

이리하여 12V 로 220V 인 현관 등을 제어하였습니다 .


예 2 : ) 가 12V 로 220V 가 인 현관등 제어 해 봅시다 ~


1. 조건 : 220V 는 선이 두가닥이 있습니다 .

한가닥 선을 의 R 이라고 해두고 다른 한가닥 선을 티 로 설명하겠습니다 .


5 번에 의 R 을 연결하고 현관 등에 티 를 연결합니다 .

그러면 220V 는 5 번과 1 번이 220V 출력입니다 .

3 번 핀에 현관등 의 R 을 연결하시면 릴레이 하나에 12V 를 220V 인 현관 등을 제어 할 수가 있습니다 .


! 또하나의 젬있는 사실

릴레이를 수십게 수백게 수만 게를 제어하기에는 선이 너무 많이 들어갑니다 .

이를 제어하기 쉽게 가 라는 것이 나왔죠 를 PLD

즉 프로그램으로 이용하여 릴레이처럼 제어를하는 것이 지요

릴레이로 인한 디지털 설계도 가능 하답니다 .

즉 이 로 ON, OFF 를 이용하여 논리식 회로도 만들 수가 있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