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 해설 |
접점 (Contact) |
접점은 Relay의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인데 접점의 재료, 접점에 인가하는 전압 및 전류치 (특히 투입시 및 절단시의 전압, 전류의 파형), 부하의 종류, 개폐빈도, 주위 분위기, 접촉형식, 바운스 형상의 다소(多少) 등에 따라서 접점에 현저한 영향을 초래하는데, 접점의 이전(移轉)현상용착현상, 이상(異常)소모, 접촉저항의 증대 등의 불량 장해가 되어 나타나므로 다음 항목에 대해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
접점회로의 전압,전류,부하 |
접점회로의 전압은 회로의 유도를 포함할 경우, 꽤 높은 역기전압(逆起電壓)이 발생하며, 전압이 높을 수록 에너지가 커져서 접점을 다치게 하고, 접점의 소모량, 이전량((移轉量)이 증대하므로, Relay의 제어용량에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직류전압의 경우는 제어용량이 극도로 저하하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것은 DC의 경우 AC 전류와 같이 0점 (전류 0의 시점)이 없습니다. 따라서 한번 음극(陰極) 아크가 발생하면 없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아크의 시간이 길어지는 것이 주요 원인입니다. 피?전류방향이 일정하기 때문에 접점의 이전현상이 일어나며 접점소모에 연결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카다로그 등에서 대체의 제어용량은 표기되어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불충분 합니다. 특수한 접점 회로에서는 유수 메이커라도 그것에 맞는 경우를 추정하든가 실험하든가 그때마다 테스트를 행하고 있습니다. ?카다로그 등에서는 저항부하의 경우 또는 한정된 제어용량이 표기되어 있는 일이 있지만, 이것은 그 Relay의 등급을 표시하는 의미가 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AC 125V 회로의 전류 용량으로 타당합니다. |
접점보호회로 | 유도부하를 개폐하는 경우에는 그림과 같은 보호 회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부하의 종류에 대하여 |
부하의 종류와 그 전류 특성은 개폐빈도와 접점에 주는 영향이 크므로 부하의 전기적 특성을 잘 확인한 다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1. 램프 부하 일반적으로 방전등 회로의 경우에는 방전관, 초크코일, 콘덴서 등이 조합되어 있으며, 특히 고 역율형으로 전원 임피던스가 낮은 경우 20배~ 40배의 돌입전류가 흐르는 것도 있으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 모우터 부하 볼랭킹, 인칭 등을 실시하면 과도상태가 되풀이 되므로 조건은 보다 가혹해 집니다. 3. 직류 부하 1) 유도 소부하(회로)를 높은 전압에서 개방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접점간에 높은 전압이 발생하여 아크 방전이나 불꽃 방전을 일으킵니다. 이 방전 에너지가 크면 접점금속의 이전(移轉) 마모현상을 초래하므로 접점기능의 불량원인이 되는 일이 있습니다. 2) 접점의 전이현상 이란 한쪽의 접점이 용착 또는 증발하여 다른 편의 접점에 이전하는 것이며, 개폐회수의 증가에 수반하여 그림과 같이 요철 현상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요철이 폐쇄된 것 같은 현상이 되어 개폐불능이 됩니다. 이 대책으로는 불꽃소거 회로 외에 접점에 걸리는 전압을(+, -) 반대로 하는 것이 유효합니다. 3) 용량성 부하(회로)나 긴 케이블을 통하여 부하에 통전하는 회로를 닫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접점에 방전전류가 흐르고 아크방전을 일으킵니다. 이 방전 에너지는 접점소모나 용착의 원인이 됩니다. 이러한 방전전류를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의 개로시에 대해서는 CR형이나 다이오드, 바리스터를 이용한 불꽃소거회로가 사용되고, 폐로시에는 파동제어기(Surge suppressor)가 사용됩니다. 4. 역기전압 DC 입력을 차단한 경우 코일의 양단에 약 200~3,000V 정도의 역기전압이 발생합니다. 트랜지스터 회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오동작 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코일에 병렬로 콘덴서 또는 다이오드를 넣는 것으로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 값에 대해서는 각각의 경우 실험값에서 산출되어야 합니다. ![]() (1) 회로의 개폐는 AC 측으로 설치하도록 하십시요. 접점에 있어서 DC 전류를 개폐한 경우 1) AC 개폐용량에 비하여 DC 개폐용량은 적어집니다 2) 전이 현상이 생기고 수명이 짧아집니다 3) 이상(異狀) 부식현상에 의해서 금속부분이 부식되고 수명이 짧아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 (2) 접지측을 개폐하지 않도록 하십시요. 접점군(群)이 접지측에 있을 때 Relay가 오동작 할 우려가 있습니다. ![]() (3) 아크에 의한 접점 수명 단축 1) 모-터를 정역(正逆) 운전하는 경우 운전중에 회전을 반전시키는 경우 Relay 접점에 아크가 발생합니다. 이것이 접점 주위의 공기를 이온화하여 전원회로를 단락하여 접점을 손상시키는 사고를 초래합니다. 모터의 정역운전을 하는 경우는 아크를 확실히 지우고 절환하도록 할 필요가 있습니다. ![]() 2) 다른 전원을 절환하는 경우 Relay의 접점에 의한 전원의 절환시에 절환시간이 짧아지므로 아크에 의한 접점의 손상은 물론, 종류가 다른 전원의 교락(橋絡)사고를 일으키게 됩니다 ![]() |
카테고리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