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주/배우기

음악의 기본적인 이론...

beforder 2010. 7. 29. 11:10
음악의 기본적인 이론 ... 이정도만 알아도 음악의 80 % 는 안다고 말할수 있을거에요 ...

♣ 오선 < 줄과 칸 >

안녕하세요. 여러분?
처음 공부를 시작해볼까요 ?
우리가 제일 먼저 배울 것은 오선이라는 거에요 .
음악의 높고 낮은 소리를 표현할 때 다섯 개의 줄을 사용하는데 ,
이 다섯 개의 줄을 5 선 , 즉 오선이라고합니다 .
맨 밑에 서부터

이렇게 쓰고요 .
그런데이 오선 안에는


이렇게 줄이 걸리게 그릴 수있는 음표가 있고요



이렇게 칸에 그릴 수있는 음표가 있어요 .

이렇게 오선 안에는 줄 (5 줄 ) 과 칸 (4 칸 ) 에 음표를 그릴 수 있지요 .
그럼이 오선 안에 쓸 수없는 높은 소리나 낮은 소리는 어떻게 쓸까요 ?
그런 소리는 덧줄이란 걸 사용해서 그린 답니다 .



이때 덧줄의 간격은 오선 사이의 간격과 비슷하게 그려야 돼구요 .
오늘은 줄 (5 줄 ) 과 칸 (4 칸 ) 의 설명과 덧줄 ( 오선 밖의 높고 낮은 소리 표현 ) 에 대해서 알아 봤는데 , 다음은 무슨 내용일까요 ?


♣ 높은 음자리표 그리는 법

음자리표
란 기준이되는음을 정하기 위해 쓰이는 건데 ,
나의 이름은  
높은 음자리표라고 해요 .

음악의 악보를 그릴 때에는 음자리표를 그려야 돼요 .
음자리표에는 우선 가장 널리 쓰이는
높은 음자리표
낮은 음자리표,

그리고  
음의 위치를 나타내는 가온 음자리표 등이 있어요 .

우선 많이 쓰이는 높은 음자리표부터 살펴볼까요 ?

높은 음자리표를 그릴 때는

1. 첫째 칸에서 시작해서 셋째 줄에 닿도록 반원을 그리고
2. 이 반원이 첫째줄에 닿아서
3. 오른쪽 방향으로 다섯째 줄을 통과하도록 위로 올려 긋고
4. 다시 밑으로 원의 중간을 통하면서 쭉 내려 그은 뒤
5. 끝을 점 모양으로 칠해주세요
♣ 계이름 ( 가락 ) 이란 ?

음악에서 높고 낮은 소리를 우리는 가락이라고 해요 .
다른 표현으로 계이름, 계명이라고 하지요 .
피아노를 잘치기 위해서는 악보에 그려있는이 가락을 , 박자에 맞게 잘 쳐야 돼요 .

 


악보 안에서는 음의 소리를 줄 또는 칸에 표시할 수 있어요 .
♣ 음표의 종류
음표의 뜻은 "그 길이 만큼 연주하세요"입니다.
그럼 그 음표의 이름과 길이(박자)를 알아볼까요? 먼저 한 마디안의 가장 완전한 음, 즉 4박자라는 뜻의

그림 이름 박자 리듬
  온음표 4 박자 VVVV
이 온음 표를 둘로 나누면
  2 분음표 2 박자 VV
이 2 분음표를 둘로 나누면
  4 분음표 1 박자 브이
또 다시 4 분음표를 둘로 나누면
  8 분음표 반박자   
8 분음표 역시 둘로 나누면
  16 분음표 반의 반박자   


둘로 나뉘어지고 숫자가 많아 질수록 박자의 길이는 점점 짧아지는 것을 알수 있죠 ?
또 이음 표들의 사이에 점음표가 있는데 바로 뒤에 설명이 나와있으니 잘 기억하세요 .
그럼 오늘 배운 음표들을 정리해 볼까요 ?

온음 표를 둘로 나누면
2 분음표를 둘로 나누면
4 개 분음표를 둘로 나누면
8 분음표를 둘로 나누면
16 분음표입니다 .
♣ 쉼표의 종류
쉼표는 음표와 길이 ( 박자 ) 는 같지만 , 뜻은 반대로 " 그 길이만큼 쉰다 " 를 라는 뜻 이예요 .
그럼 그 종류를 살펴볼까요 ?

그림 이름 박자 리듬 표시
온쉼표 4 박자   
이 분쉼표 점 3 박자   
2 분쉼표 2 박자   
점 4 분쉼표 1 박자반   
4 분쉼표 1 박자   
점 8 분쉼표 반박 자반   
8 분쉼표 반박자   
16 분쉼표 반의 반박자   

그런데 온쉼표에 대해서 꼭 알아두어야 할 게 있어요 .
이은은 온쉼표는 4 박자라는 뜻도 있지만 한마디를 모두 쉴때에는 박자에 상관없이이 온쉼표를 씁니다 .

예 )


이때 온쉼표 길이는 2 박자를 쉰다는 뜻이에요 .


물론 6 박자 동안 쉬라는 뜻 이고요 .


마찬가지로 3 박자 동안 쉬라는 뜻입니다 .

이렇게 한마디 전체를 쉴때는이 온쉼표를 쓰는데 항상 4 박자를 쉬는 건 아니니 꼭 이해하세요 .

♣ 우리나라 음이름

우리가 '도레미파솔라시도'라고 하는 것은 계이름이라고 앞에서 배웠죠?

그런데 이 계이름을 우리나라 고유의 음이름으로 바꾸면 '다라마바사가나다' 라고

불러요. 살펴볼까요?
 

단음 계인 ' 라 ' 부터 시작하면 ' 가나 다라마바사 '로 외우기가 더 쉽죠 ?

이 음이 름도 계이름과 같이 많이 읽고 써야 악보에서 금새 알아 볼 수 있답니다 .

또 가운데 내용을 생락해서 미안한데 우선 다장조는 " 도 "가 으뜸음 , 라장조는 " 레 ",

마장조는 " 미 ", 바장조는 " 파 ", 사장 조는 ' 솔 ", 가장 조는 " 라 ", 그리고

나장조는 " 시 "가 으뜸음이 되는걸 꼭 기억해야 되요 .

물론 우리나라 고유의 음이 름은 서양에서도 C ( 씨 ), 디 ( 디 ) 이봐요 이봐요 이봐요 이봐요 이봐요 이봐요 이봐요 이봐요, E. . 라고 다른 음이 름을 사용 한답니다 .

기억해야 될 꼭 한가지 !

뭐냐면이 계이름은 조가 바뀌면 같이 바뀌지만 , 이 음이 름들은 조가 바뀌어도 항상 변하지 않습니다 .

예 )
계이름을 읽을 때
( 사장 조는 솔이 으뜸음 )
음이 름으로 읽을 때
♣ 서양의 음이름

서양의 음이 름은 영어의 대문자를 사용 한답니다 .




그런데 단음 계인 라부터 시작하면 기억하기가 더 쉬워 져요 .



마찬가지로 계이름은 바뀌어도 음이 름은 바뀌지 않습니다 .

게임을 통해서 더욱 실력을 쌓도 록하세요 .
♣ 음악의 3 요소

여러 가지 아름다운 음악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3 가지가 꼭 필요합니다 .

먼저
1. 가락
2. 리듬
,
3. 화음
이 있어야합니다 .
다시 말하면 ' 도레 ~ 시도 ' 이런 소리와 딴딴딴딴 똑같은
소리가 아닌 따아안 딴 따안 등 길고 짧은 소리 .


그러나이 두가지가 만나서 듣기 싫은 소리가되면 안되 겠죠 ?

서로 어울리는 예쁜 소리가 될 때 비로소 음악이 만들어지는 거랍니다 .
♣ 악보를 그리는 순서

어린이 여러분이 보는 음악 책의 악보는 단순히 계이름만 표시 된게 아니예요 .
이 악보는 그리는 순서가 있어요 .
살펴볼까요 ?
우선 오선을 그려야 겠죠 ?


이 오선에 음자리표를 그린 후 조표를 표시해야합니다 ( 예 - 바장조 )
그런 다음 한마디 안에 조표를 표시하고 ( 예 - )

세로줄이나 겹세로줄로 마디를 나누고
악보가 완성된 후에는 끝세로줄로 곡의 끝남을 꼭 표시해야합니다 .
헷갈리는 한가지 !

항상 조표 다음에 박자표를 쓴답니다 .

예 )

♣ 점음표

점음표의 길이를 무조건 외우려면 참 어려워요 .

우선 점은 앞음표 길이의 절반 이예요 . 잘보세요 .


그럼 다음 도표를 보면 더 쉽게 이해 될거예요 .


덧붙여서 겹점음표는 앞길이의 절반의 절반입니다 .

즉 점음표에서 점은 앞길이의 절반 , 겹점음표는 앞길이의 절반의 또 절반입니다 .
♣ 붙임 줄과 이음줄

곡을 표현할 때 많이 쓰이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붙임줄 (타이 : 타이 ) 과

이음줄 ( 연결선을 긋다 : 슬러 ) 입니다.

1) 붙임 줄은 ( 넥타이 : 타이 ) 를인 경우는 그 부분을 한음처럼 연주하라는 뜻입니다 .

살펴볼까요 ?

표시 실제 연주

2) ( 연결선을 긋다 : 슬러 ) 이음줄의 경우에는 보통 그 부분을 아주 부드럽게 연주하라는 뜻이에요 .

또 이음줄을 표현할 때 () 는 이음줄 바로 앞에서 숨을 쉬며 쳐야합니다 . 쉽게 말해서

예 )


이렇게 숨을 쉬는 곳에 따라 뜻이 다르듯 음악도 마찬 가지라 생각하면됩니다 .

특히 피아노를 칠때 왼손의 멜로디와 오른손의 멜로디를 이음줄을 생각하며

잘 표현해야합니다 .

♣ 리듬 악기의 종류

리듬 악기는 길고 짧은 표현과 세고 여린 표현만 할 수 있어요 .

가락 악기 ( 예 : 피아노 , 오르간 , 바 , 리코도 등 ) 처럼 ' 도레 ~ 라시도 ' 는 나오지 않아요 .

어린이 모두 학교에서 리듬 합주를 해봤 듯이 리듬 합주를 할 때 세게 치는 악기와

여리게 치는 악기가있다는 것을 알고있을 거예요 .

먼저 세게 표현할 때 치는 악기입니다 .

센박을 치는 악기로는 큰북 , 심벌즈 , 트라이앵글 , 발구 르기가 있고

여린 박을 치는 악기로는 작은북 , 캐스터네츠 , 손뼉 치기 등이 있어요 .

그런데 중요한 사실 한 가지 !

탬버린은 센박과 여린 박을 표현할 때 양쪽 모두 사용할 수 있어요 . ( 와! 깍두기다 )

♣ 템버린의 주법

탬버린은 흔히 주변에서 많이봤을 거예요 .

탬버린은 크게 3 가지 방법으로 칠 수 있어요 .

우선 그림을 잘 보도록하세요 .

흔히 탬버린의 가운데를 칠 때 '북면 치기' 라고합니다
탬버린의 테두리 부분을 이용하면서 치는 방법을 '테치기' 라고합니다.
말 그대로 잘게 흔들기로 다른 말로는 '트레몰로 연주법' 이라고도합니다 .
그런데 음표의 길이에 따라 흔드는 박자의 길이가 다릅니다 .

4 박자 동안 3 박자 동안 2 박자 동안 1 박자반 동안 한박자 동안

♣ 도돌이표와도가 직류 를에 DS에 에 에에 에에

* 는 이 는이 는이 는이 도돌이표의 뜻이 다시 반복해서 한 번 더 친다는 사실은 모두 알고있을 거예요 .



예 ) 1-2-3-4-1-2-3-4 모두 8 마디를 쳐야 해요 .

그런데 곡의 처음부터 반복할 때 앞의 를 생략 해요 .



마찬가지로 1-2-3-4-1-2-3-4 (8 마디 연주 )

그런데 다음의 경우에는 어떻게 칠까요 ? 잘 살펴보세요 . !

1)

     연주 순서 : 1-2-1-2-3-4 (6 마디 )

2)

     연주 순서 : 1-2-3-4-3-4 (6 마디 )

3)

     연주 순서 : 1-2-1-2-3-4-3-4 (8 마디 )

4) 이 경우에는 처음에 한 번 도돌이표해서 2 번으로 치라는 뜻 .



     연주 순서 : 1-2-3-1-2-4-5 (7 마디 )


* D.C ( 다 카포 - 다카포 )
곡의 처음으로 돌아가서 또는 에서 끝나란 뜻 이예요 .



     연주 순서 : 1-2-3-4-1-2 (6 마디 )


* D.S ( Dal Segno - 달세뇨 )
곡의 표시로 돌아가서 또는 이있는 곳에서 끝나란 기호입니다 .



     연주 순서 : 1-2-3-4-5-2-3 (7 마디 )

자! 이해되지 않으면 다시한번 보도록하세요 .

,,에 대하여 ( 변화표 )

1) # ( 샾 ) 은 올림표라고합니다.
음표 앞에 # ( 샾 ) 이 있을때 ( , ) 반음을 꼭 올려서 쳐야합니다 .
건반을보고 잘 이해 해보세요 .



꼭 검은 건반에 # ( 샵 ) 이 되는건 아니죠 ?

미 ( 전자 ) 파 ( F)의 의 의의 의의 의의시 (B)를 를를 를를 를를 를도 ( C )는 중간에 검은 건반이 없기 떄문에 흰 건반끼리 반음이됩니다 .

2) b ( 플랫 ) 은 내림표라고합니다.
반음을 내려서 쳐야하는데 ( , 로 ) 는 건반을 잘보고 이해하도록하세요 .
( 샾 ) 과 ( 플랫 ) 은 높은 음자리표 옆에서 조 ( 바장조 , 사장조등 ) 를 나타내는

조표의 역할도합니다 .


정리하면 #, B는 는는 는는 는는 가의 경우 음표 앞에서는 임시 표로 쓰이고 음자리표 앞에서 조표의

기능을합니다 .

한 가지 더 !

( 더블샾 ) 은 반음 씩 두 번 올라가서 치라는 뜻 이예요 .

( 더블 플랫 ) 은 마찬가지로 반음씩 두 번 내려와서 치라는 뜻 이예요 .

악보
실제 연주

♣ 박자표

높은 음자리표 옆네는 항상 박자를 지시하는 박자 표가 있어요 .

박자 표는 우선 박자 , 박자 , 박자 , 박자가 많이 쓰이는데 먼저

박자부터 살펴볼까요 ?

1) (4 분의 2 박자 ); 한마디에 (4 분음표 ) 가 2 개있다는 뜻 이예요 .

항상 한마디가 2 박자가 되야 해요 .





지휘법 , 입니다.
2) (4 분의 3 박자 ); 한마디에 (4 분음표 ) 가 3 개있다는 뜻이고 역시 한마디는

3 항상 박자가됩니다 .



지휘법 , , 입니다.
3) (4 분의 4 박자 ); 한마디에 가 4 개있다는 뜻 이예요 .

항상 한마디가 4 박자가 되야 해요 .



지휘법 , , 입니다.

4) (8 분의 6 박자 ); 한마디에 가 6 개있다는 뜻 이예요 .
가 1 박자가되면서 한마디에 6 개가 들어가야합니다 .



지휘법 , , , , 예요.

♣ 셈여림표

연주를 하다보면 오선 위에 ( 피로 , 여, 헌병의를 ...) 이렇게 표시된 것을 볼 수있을 거예요합니다 .

이것들을 전부 셈여림표라고하는데 보통 줄여서 약자로 표시합니다 .

자 먼저 피아노 ( 피아노 ) 부터 알아볼까요 ?


1) ( 피아노 ) 피 ; 여리게란 뜻 이예요 .

2) 바 ( 포르테 ); 세게란 뜻 이죠 .

여기서 잠깐 !

우리가 치는 "피아노" 도 원래는 "이피아노 포르테" 라고 불렀어요 .

그런데 발음하기가 길어서 "피아노" 라고 줄여서 말하게 된 것이예요 .

"피아노" 의 악기는 세고 여린 소리를 잘 내니까요 .


3) ( 메조 피아노 ) 헌병 ; 조금 여리게

    의의의의의의의 의 MF 는 ( 메조 포르테 ); 조금 세게

"메조" 란 뜻은 "이중간" 또는 "조금" 이란 뜻 이예요 .

예 ) 소프라노 - 메조 소프라노 , 스타카토 - 메조 스타카토


4) ( 피아 니 시모 ) pp ; 매우 여리게 ( 여리게가 2 개나 되니까요 )

    FF로 로 로로 로로 로로 ( 포르 티 시모 ); 매우 세게 ( 세게가 2 개가 되니까 )

그러면 센순서대로 나열 해 볼까요 ?




다음은 여린 순서 대로입니다 .





그밖에

( 는 가 가가 가가 가이 크레센도 - 점점 세게 )
( 가 가 가가 가가 가이 데크 레 센도 - 점점 여리게 )가 있어요 .

여기서 ( 데크 레 센도 ) 는 희미한 ( 디미누인도 - 점점 여리게 )와 뜻이 똑같아요 .

간단한 그러나 중요한 셈여림 공부 끝 !


♣ 스타카토의 종류

스타카토의 뜻을 알고 있나요 ?
스타 카 토란 짧게 끊어서 연주하라는 뜻 이예요 .
그러나 무조건 짧게만 치란 뜻은 아니예요 .
스타카토들도 다 종류가 있는데 , 그 이름에 따라 짧게 치는 길이도 다릅니다 .
우선 메조 스타카토부터보기로 하죠 .

1) ( 메조 스타카토 ); 길이 =

한박자를 4 개로 나눌 때 3 / 4 정도 를 가를 가를 를를 를의 길이 정도로 쳐야합니다 .

2) ( 스타카토 ); 길이 =

한박자를 절반 정도의 길이 로칩니다 (1 / 2 길이가 되겠죠 ?

3) ( 스타카토 시모 ); 길이 =

빠른 곡에서 아주 짧고 경쾌하게 칠 경우 스타카토 시모를 씁니다 한박자를 4 개로 나눌 때 1 / 4 의 길이입니다 .


♣ 당김 음이란 ?

뭘 당기 냐구요 ?
바로 음표를 당겨서 센박과 여린 박의 위치를 바꾸는 것을 말해요 .
다른 말로는 싱코페이션 ( 당김음 )이라고도 해요 .
당김음일 경우는 연주하는 악기나 , 노래하는 사람이 그 부분을 세게 표현해야합니다 .

먼저 당김 음이 변해서 셈여림이 된 경우입니다 .

예 ) 리듬 악기 노래 (3 학년 )



다음은 붙임 줄이 변해서 된 경우입니다 .

예 ) 새싹들이다 (4 학년 )



※ 주로 당김 음이 많이 나타나는 곡입니다 .
은 붙임 줄에 의해서 센박이 앞으로 옮겨졌습니다 .

♣ 갖춘 마디와 못갖춘마디

우선 갖춘마디란 ?
갖춘 마디는 박자 표대로마다마다 처음부터 끝마디까지 갖추어진 마디를 말합니다 .
보통 앞에서 배운대로 센내기 ( 세게 ) 셈여림을 시작합니다 .

예 1) 똑같아요



예 2) 학교



그러면 못갖춘마디란 무엇일까요 ? .
못갖춘마디는 첫마디가 부족한데 , 이 부족한 나머지 박자가 맨 끝마디와
합쳐서 한마디를 만듭니다 .
그렇기 때문에 여린 내기 ( 여리게 ) 곡을 시작합니다 .

예 1) 등대지기 (8 분음표가 한마디 겠죠 ?)





정리합시다 !

갖춘 마디는 세게 곡이 시작되고 , 못갖춘마디는 여리게 시작됩니다.
못갖춘마디는 첫째마디와 마디를 합쳐서 한마디를 만듭니다 .

♣ 악곡의 형식

연주나 노래를 할 때 가장 기본 ( 작은 주제 ) 이되는 것을 동기 (2 마디 )라고합니다.
보통 곡을 이루는 최소의 단위입니다 .

( 예 )

동기 (2 마디 ) + 동기 (2 마디 ) = 작은 악절 (4 마디 )

작은 악절 (4 마디 ) + 작은 악절 (4 마디 ) = 큰 악절 (8 마디 ) 또는 한도막 형식

작은 악절 + 작은 악절 + 작은 악절 제품 제품 제품 제품 제품은 = 작은 세도막 형식 (12 마디 )

한도 막 형식 (8 마디 ) + 한도 막 형식 ( 마디 8) = 두도 막 형식 (16 마디 )


다음 악보를보세요 .


이 악보는 모두 16 마디입니다.
따라서 한도막 (8 마디 ) 형식이 두 번 더해진 것으로 두도 막 형식으로되어 있습니다 .
몇 마디인지를 알아보면 악곡의 형식을 알 수 있겠죠 ?

다음을 불까요 ?

이 곡은 우리가 많이 알고있는 노래입니다 .
모두 몇 마디일까요 ?
네. 모두 12 마디로 작은 악절 (4 마디 ) 가 3 번 더해진 것이므로 작은 세도막 형식이라고합니다 .

정리합시다 !

악곡의 최소 단위는 ?
(2) 마디 즉 , ( 동기 ) 이고 동기가 두번 더해지면 (4) 마디 ( 작은 악절 ) 이됩니다 .
이 작은 악절을 두 번 또 더하면 (7) 마디 큰악절 , 이것은 곧 ( 한도막 형식 )이됩니다 .
한도막 형식은 (8) 마디! 주로 짧은 동요가 많이 있죠 .

예 ) 무엇이 똑같을 ~. 학교종 , 봄나들이

두도막 형식은 16 마디, 세도막 형식은 24 마디,
또 작은 악절 (4 마디 ) 가 3 번 더해진 형식은 작은 세도막 형식 (12 마디 )입니다.

♣ # 이 붙는 순서

올림표 (# , 샾 )는 붙는 순서가 일정합니다 .

부터 네 개씩 내려간 답니다 .



오선 위에 표시할때엔 음표의 머리에 해당하는 곳에 올림 표를

정확히 그려넣어야 해요 .



공책에 그려넣는 연습을 많이해야 돼요 !

♣ b 이 붙는 순서

내림표 ( 플랫 )도 마찬가지로 일정한 규칙대로 임시 표로 쓰인 답니다 .

내림 표는 올림 표와 반대로 를 처음으로 4 개씩 올라갑니다 .



오선 위에 표시 할떄는 이렇게



어? 그런데 거꾸로 읽으면 ' 파도 솔레 라 시미 ' 네?

올림 표가 붙는 순서가 되죠 ?

그럼, 한가지만 외우면 두가지 모두 알 수 있겠 네요 .

열심히 외웁시다 .


♣ 3 화음

화음은 2 개이상의음을 동시에 연주할 때 나는 어울리는 소리입니다.
그런데이 화음에는 가장 폭 넓게 쓰이는 3 화음이 있습니다 .

이 화음은 흔히 3 으뜸 화음 ( 또는 1 도 화음 ) , 버금 딸림화음 ( 또는 4 도 화음 ),
딸림화음 ( 또는 5 도 화음 )이라고하는데이이 3 화음을 이해하고 있으면 반주를 할 때
( 각 조에세 3 화음을 이용시 ) 더 쉽게 연주 할수 있답니다 .

예 > 다장조일 때 ( 다장조의 3 화음은 꼭 암기해야 되요 !)



또 , 으뜸화음인 도미 솔이 자리 바꿈을해서 미솔도 또는 솔도미에 표시되어도 같은 으뜸화음인 것은 변화가 없습니다 .


  : 으뜸 화음의 자리 바꿈의 예

마찬가지로 버금 딸 림 화음이나 딸림화음의 경우에도 자리 바꿈을 하여도 같은 화음임을 꼭 기억하세요 .
또 ,이 3 화음을 이용하여 박자 표에 맞게 왼손으로 연주를하면 다음과 같이됩니다 .

예 > ★ 으뜸 화음의 경우


예 > 바장조일 때 ( ★ 으뜸 화음의 경우 )



어린이 여러분 !

다장조의 3 화음부터 잘 이해하고 , 각 조마다 3 화음을 이해하면 쉽고 간단한 반주법도 금세 익히게됩니다 .
참 ! 악보의 대부분이 도 화음 ( 으뜸 화음 ) 으로 시작하면 끝날때도 도화음 ( 으뜸 화음 ) 으로 끝납니다 .

♣ 가락 음정과 화성 음정

1) 가락 음정

가락 즉 계이름이 따로 따로 들리며 예쁜 멜로디가 나오면이 음들의 거리
가락 음정이라고합니다 .

예 >


2) 화성 음정

2 이상의 음이 동시에 울릴 때 , 이런 화음을 이룬 개 음의 간격화성 음정이라고합니다 .

예를 볼까요 ?


즉 , 하나씩 들리면 가락 음정 동시에 들리면 화성 음정이에요.

♣ 옥타브

옥타 브란 어떤 음에서 8 도 ( 도 ~ 도, 레 레등 ~) 를 올리거나 내렸을 때 나타내는
이름이에요 .

즉 , 8 도를 2 번 올리면 ( 도 ~ 도 ( ① 번 ) ~ 도 ( ② 번 )) 2 옥타브 라고하고 , 3 번 올리거나
내리면 3 옥타브 라고 해요 .

악보에 표시 할때에는 8Va로 표시하는데 오선 위에 표시되면
1 옥타브 올리라는 뜻이고 오선 아래에 표시되면 1 옥타브 내리라는 뜻이에요.

◈ 옥타브 표시가 아래일 때    
    < 실제 연주음 >


◈ 옥타브 표시가 아래일 때    
    < 실제 연주음 >

♣ 기달기 ( 꼬리 달기 )

우리가 자주 쓰는 그림 ( 분음표 8) 그림 (16 분음표 ) 등 꼬리가 달린 음표들은 오선 위에 그릴 때
눈으로 알아보기 쉽게 기 ( 꼬리 )를 답니다 .

살펴볼까요 ?



※ 알아두어야 할 한가지 !
① - 머리 ② - 기 ③ - 꼬리 ④ - 점

음표를 그리는 순서예요.

잘 기억하세요 !

♣ 장조와 단조의 차이점

장조는 장음계 () 를 바탕으로 만들어 진곡을 말해요 .

으뜸화음인 도미솔(로 ) 은이 중 어느 한음으로 시작해서 보통 로 끝납니다 .

장조는 신나고 즐거운 느낌이 많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배우는 음악 교과서에

많이 나옵니다 .


그럼 단조는 무엇일까요 .

단음계를 바탕으로 만들어 졌는데 단조는 라도미 중 한음으로 시작해서

보통 로 끝납니다 . 단조는 어둡고 쓸쓸하며 우울한 느낌이 듭니다 .


예 ) 장조   징글벨 , 파란 나라 ..
단조   흰구름 (5)

♣ 온음과 반음



피아노를 보면 흰 건반 ' 도레미파솔 라 시도 ' 를 원음이라고 해요 .

그리고 흰 건반 사이의 검은 건반들을 사이음이라고 하지요 .

그러면 , 지금부터 온음반음의 설명을 잘 듣도 록 해요 !

먼저 , 반음은 가장 가까운 옆의 건반을 반음이라고 불러요 ( 올림표일 경우 ).



그런데 ' 미파 '' 시도 '의 사이에는 검은 건반이 없어요 .

반음이 꼭 검은 건반은 아니예요 .

''는 는는 는는 는는 는의 반음은 따라서 바로 옆 '' 이고 ''는 는는 는는 는는 는의 반음도 바로 옆 '' 가 되겠죠 ?

문제집에 그래서 "미파시도반음이다 "라고 써있는 거예요 .

그러면 다른 ' 도레 ', ' 파솔 ', ' 라시 ' 등은 가운데 사이음인 검은 건반이 있기 때문에

온음이라고 해요 .


정리합시다 !

반음은 가장 가까운 곳의 음이고 , 온음은이 반음이 번 더해진 것이 .

그런데 '미파','시도'( 피아노 칠 때 장음 계에서 3, 4 번 건반과 7, 8 번 건반 ) 는
사이 음이 없기에 반음 사이입니다 .

( 쉽게 생각합시다 !)

♣ 딴이름 한소리

딴이름 한소리는 말 그대로 이름은 틀린데 실제 연주되는 소리는 같을 경우를 말합니다 .

예 ) 은 이름은 다르게 표시해도 건반에서는 한자리입니다 .

( 예제 1) ( 예제 2)


아주 중요한 사리 한가지 조표 외에 사용된 음표 앞의 , 는 한마디에서만 효력이 있고 그마 디를 벗어나면 제자리서 쳐야합니다 .

3) ( 제자리표 ) 는 음표 앞의 , 등을 다시 원래 제자리에서 치라는 소리입니다 .

♣ 장음계

음계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온음 ( 반음 2 개 )반음 ( 반음 1 개 )의 뜻을 먼저 잘 이해해야합니다 .
장음 계에서는 으뜸음 ""7 에서 개의 음 (도레미파솔 라시) 을 쌓은 것인데 , 항상 3 ~ 4 번째와 7 ~ 8 번째의 건반은 반음이고 , 나머지는 온음 사이입니다 .

건반을보고 잘 이해하세요 .

1) 다장조의 음계


건반을 잘보세요 . 3 ~ 4 번째 건반에는 사이음 즉 반음이 없습니다 . 7 ~ 8 번째
건반에도 마찬가지 고요 .

다른 음계도 살펴보기로할까요 ?

2) 바장조 - ' 파 ' 는 으뜸음 이지요을가을는가합니다하십시오합니다하십시오 합니다.

마찬가지로 3 ~ 4 , 7 ~ 8 건반에는 사이 음이 없어서 서로 반음이됩니다 .




3) 내림 나 장조의 음계




4) 내림 마장조의 음계




5) 내림 가장 조의 음계




6) 내림 라 장조의 음계




7) 내림 사장 조의 음계




8) 내림 다장조의 음계




♣ 단음계

단음계에는 장음 계보다 3 도 낮은 자리에서 시작하며 , 단음계는 3 가지의 종류가 있습니다 .

1) 자연 단음계 (2 ~ 3 음과 5 ~ 6 음이 반음입니다 .)



2) 화성 단음계 (자연 단음계와 같으나 제 일곱음을 한 번 더 반음 올려줍니다 .)



3) 가락 단음계 (올라갈 때는 6 ~ 7 음을 반음 올리고 , 내려올땐 자연 단음계와 같습니다 .)



* 이 가 이는 이는 이는 단음계와 장음 계를 더욱 자세히 알려면 하농의 음계 연습이 많이 필요합니다 !

♣ 으뜸음과 장조 찾기

으뜸음장조를 잘 찾기 위해서는 이 붙는 순서와 이 붙는 순서를 꼭 알아야합니다 .

이 붙는 순서는 파도 솔레 라 미시
이 붙는 순서는 시미 라 레 솔 도파

그리고 간단한 등식 !

올림 표는 맨 마지막 음에서 한음 올립니다 .

예 )
즉 , # 이 붙는 순서로 ' 파 ' 에서 한음 올리면 ' 을' 이되고 ,
이 '' 이 으뜸음이됩니다 .
그러면 무슨 장조일까요 ?
' 솔 '는 우리나라 음이 름이므로 바꾸면 ' 을이은이는이는이는이는이는 이 는사장조' 가됩니다 .

 
 
 

그러면 ( 내림표 ) 는 어떻게 으뜸음과 장조를 찾을까요 ?
내림 표는 '시미 라 레 솔 도파' 플랫이 붙는 순서를 꼭 외우고 조표에서 4 음을 내려가면 으뜸음이됩니다 .

이 으뜸음을 우리나라 음이 름으로 바꾸면 장조가됩니다 .

 


예 )
 
 
 

정리합시다 !

조표가 일때에는 으뜸음 (+1) - > 음이름( 장조 )
조표가 일때에는 으뜨음 (-4) - > 음이름( 장조 )

꼭 기억하세요 !

♣ 성악의 연주 형태

우리가 노래를 할 때 혼자서 또는 여럿이 함께 부를 때 더욱 아름다운 소리가 나죠 ?
자, 이번엔 여러 가지 노래의 형태에 대해서 알아보겠어요 .

1) 독창 : 물론 혼자서 노래 부를때를 말합니다 .

2) 합창 : 두 사람 이상이 서로 다른 성부를 나누어 부를 때 " 이 를를가를 는 가를합창" 이라고 해요 .

종류를 볼까요 ?

여성 2 부합창   소프라노 , 알토
남성 2 부합창   테너 , 베이스
여성 3 부합창   소프라노 , 메조 소프라노 , 알토
남성 3 부합창   테너 , 바리톤 , 베이스
여성 4 부합창   제 1 소프라노 , 제 2 소프라노 , 제 1 알토 , 제 2 알토
남성 4 부합창   제 1 테너 , 제 2 테너 , 제 1 베이스 , 제 2 베이스


3) 제창 3 : 여러 사람이 한 성부를 부를 때입니다 .
( 어가는가가가가가 가 ? 학교 시간에 노래 부를 때는 "을 " 이겠네요 제창을을을을을을을을 ?)

4) 중창 질문 3 : 한 사람이 한 성부를 나누어 부를 때입니다
예 )
  2 중창 - 2 명이 부름
3 중창 - 3 명이 부름

5) 돌림 노래 3 : 먼저 부른 노래를 일정한 간격을두고 다른 성부가 따라 이어 부르는 것입니다 .



♣ 원음과 사이음

원음
이란 다장조가가가가가 ( C 의 장조 ) 를 구성하고있는 음으로서 악보에서 임시 표가 붙지 않은 흰건반을 말합니다 .
   

사이음은 원음에 임시 표를 붙인 것을 말합니다 .

   
마찬가지로 C 이메일 G   A B 도있을 수 있겠죠 ?

♣ 반음과 온음

건반에서 가장 가까운음을 반음이라합니다 .

번호 순서대로 올라가보세요 !
( 가 가 가가 가가 가가 우리가 쓰고있는 서양 음계 12 반음계입니다 .)
예를 들어 전자 ( 미 ) 의 반음은 6 번파와 4 번 미( 혹은 디 #) 이됩니다 .
또 잘 살펴보면이가이가이가 5,6 과 12,13 번에는 검은 검반이 없어서 반음이 되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

그렇다면 온음은 무엇일까요 ?
반음이 2 개 모인 것 ... 이것을 우리는 온음이라고합니다 .
다음 건반을 잘 살펴보세요 .

이렇게 다장조의 음계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 3-4 - 번째 건반 ( 미 , 파 ) 과 7-8 - 번째 건반 ( 시 , 도 ) 은 다른 건반이 온음인 것에 반해 반음으로 이루어 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 이렇게 장음 계는 모두 3-4 - 7-8 번째 건반은 반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반음과 온음에 대한 이해를해야만 비로서 음정이나 반주 이론을 할 수 있답니다 . 그렇다면 수평으로 살펴보는 장음계의 거리를 살펴볼까요 .


자, 확실히 음과 음의 거리가 반음 일 때와 온음 일때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겠 지요 ?

♣ 음정이란 ? (1)

음정이란 두 음간의 거리를 음정이라합니다 .
다음 장음 계의 음정을 살펴볼까요 ?
이렇게 음정의 거리는가 "" 는 표한합니다을라고에는도 . (* 8 도를 은 은 은은 은은 은이 넘는 경우는 기본음이 두번 겹치므로 겹음정이라고합니다 .)

다음은 몇도의 음정일까요 ? ( 마우스로 가로 안을 긁어 보면 정답이 보여여 ...)

( 2 도 ) ( 4 도 ) ( 4 도) ( 3 도 )

( 5 도 ) ( 6 도 ) ( 6 도) ( 6 도 )

이 음정의 거리는 반음의 차이 때문에 장음 정과 단음 정으로 나뉩니다 .
예를 들어 미파와 시도의 사이에는 검은 건반이 없어서 다른 음들이 온음 ( 반음 2 개 ) 인 것에 비해 반음입니다 . 따라서 같은 2 도 사이라도 어느 것은 반음이 2 개이고 어느 것은 반음이 1 개입니다.
이렇게 반음이 하나 짧은 것은 단음 정이라고하고 , 하나 긴 것은 장음 정이라고합니다 .

2 장 도인지 단 2 도인지 쓰세요 ... ( 마우스로 긁으면 정답이 보여여 ...)

(장 2 도) (단 2 도) (장 2 도) (단 2 도) (장 2 도)
반음 3 개 반음 2 개 반음 세 개 반음 2 개 반음 3 개

3 도의 기리를 가진 음정도 장음 정과 단음 정으로 나뉩니다 .
장 3 도의 경우는 반음이 4 개인 것에 비해 단 3 도는 반음이 3 개입니다.
다음 장 3 도인지 단 3 도인지 구분해서 쓰세요 .
(장 3 도) (장 3 도) (장 3 도) (단 3 도) (단 3 도) (단 3 도)
다음은 완전 음정에 대한 설명입니다 .
다음은 다음 계에서 도에서 도가지 차례로 3 도씩 쌓은 3 화음입니다 .

* 주요 3 화음 (1 도 , 4 도 , 5 도 화음은 대문자로 표기합니다 !)

여기서 대문자로 쓰인 것은 반음의 문제가없는 1 도와 4 도 5 도 8 도입니다 .
이 음정을 우리는 완전 음정이라고합니다 .
음정의 거리가 1,4,5,8 도 인 것은 5 도안에서는 장과 단이 구분없이 반음이 한 개 , 8 도의 경우는 반음이 2 대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꼭 기억할 것은 ..... 1 도 4 도 5 도 8 도는 완전 음정 입니다. 다음 반음의 수와 음정과의 관계입니다 . ( 꼭 건반을 생각하고 읽어보세요 !)

음정 반음수 반음 0 개 반음 1 개 반음 2 개
1 도      
2 도 , 3 도  
4 도 , 5 도 완전
6 도 , 7 도  
8 도     완전
예를 들어 음정이 3 도인 경우 반음이 없을 때는 ( 예 : 도 ~ 미 , 파 ~ 라 , 솔 ~ 시 . , ,) 장 3 도가되면 반음이 하나 있을때는 ( 예 : 레 ~ 파 , 시 ~ 레 , 미 ~ 솔 ...) 단 3 도가됩니다 .
4 도와 5 도는 완전 음정이라서 장이나 단음 정으로는 절대 쓸수없고 증이나 감음정으로 ( 반음 늘고 줄때 ...) 표기 할 수 있습니다 .
6 도아 7 도는 장이나 단음 정으로 표기하며 6 도 사이에서 반음이 1 개있을 경우에는 장 6 도장 7 도 ) 반음이 2 개인 경우에는 단 6 도 ( 단 7 도 ) 가됩니다 .

♣ 음정 2

장 6 도와 단 6 도는 어떻게 구분할까요 ?
장 6 도의 경우에는 음정의 거리가 6 도이면서 가운데 반음 사이의 음정이 하나 인 것은 장 6 도입니다합니다하십시오 .
그러나 거리가 6 도이지만 반음이 두개인 것은 단 6 도가됩니다 .
건반을 잘 생각 해보고 다음의 악보를 비교 해보세요 .

* 이 는이 는이 는이 음정에 반음이 ) 1 개 정보를 ( 단음 정에 비해 거리가 길다이
* 는 이 는이 는이 는이 음정에 반음이 2 개

다음 몇도 음정인지 써보세요 . ( 마우스로 긁으면 정답이 보여요 !)
* 완전 , 장 , 단을 앞에 쓰세요 .

( 완전 5 도 ) ( 단 3 도 ) ( 단 6 도 ) ( 완전 8 도 )
    반음 2 개 반음 2 개
( 장 2 도 ) ( 장 3 도 ) ( 단 2 도 ) ( 단 6 도 )
반음 3 개   반음 2 개 반음 2 개

그렇다면 증음정은 어떤 것일까요 ?
증음정은 장음 정에 올림표 샵이 붙은 경우입니다 .
임시표 때문에 실제의 거리보다 반음 올려져 있기 때문이지요 . ( 단음 정에 # 이 붙으면 장음 정이됩니다 .)


♣ 음정 3

다음은 감음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증음정과는 반대의 개념으로 .. 감음정은 단음 정에서 반음 내려진 것을 감음정이라고합니다 .

다음은 단음 정의 경우인데 내림표 플랫이 붙여진 경우입니다 .
* ( 장음 정에서 한음 내려오면 단음 정이됩니다 .)

(5 도 안 반음 1 개 )
(5 도 밖 반음 2 개 )


♣ 정리합니다 !

같은 음정이 ( 거리 ) "0 도 " 에 즉 , "0 도 " 라고 돗수를 쓰지만 ... 거기에 포함되는 반음의 수는 다르기에 그것을 구별하기 위해 장 , 단 , 완전 , 증 , 감을 돗수 앞에 씁니다 .
이 음정에는 완전 음정 계와 장 , 단 음정 계가 있는데 ...

1. 완전 음 정계는 1, 4 . 5. 8 도를 말하며 반음의 문제 (?) 가없고 화음으로들을 때도 가장 어울리는 소리가됩니다 .
완전 음정에서 반음 넓어지면 증음정이되고 완전 음정에서 반음 좁아지면 단음 정이됩니다 .
(° 완전 1, 4 5 , 8 도는 장 , 단 음정인 1 4, 5, 8 도는 절대되지 않습니다 !)

2. 장 , 단음 정계는 2, 3 . 6. 7 이 해당됩니다 .
3 도에서 반음 4 개인 것은 장 음정이며 ( 장 3 도 ) 반음이 3 개인 것은 ( 단 3 도 ) 단음 정이됩니다 . (5 도 안에서도 마찬가지 )
(° 테트라 코드가 온음 + 온음 + 반음이 2 개 모여 음계가 형성된 것을 생각하고 4, 5 도에서 반음이 1 개인 것은 완전 음정 , 2 개는 감음정이며 , 6 도 , 7 도에서 반음이 1 개일 때는 장 , 2 개일 때는 단음 정이됩니다 .)

여기서 완전 음정과 마찬가지로 장음 정에서 반음이 넓어지면 증음정 , 반음이 줄어들면 단음 정이됩니다 .

다음은 음정의 이러한 성질을 도수로 쓴 것입니다 .

완전 음정 : 1 도 , 4 도 , 5 도 , 8 도 여기서 반음 올라가면 증 1, 4, 5, 8 도
  반음 내려가면 감 1, 4, 5, 8 도
장 음 정 : 2 도 , 3 도 , 6 도 , 7 도 여기서 반음 올라가면 증 2, 3 , 6, 7 도
  반음 내려가면 단 2, 3, 6 7 , 도
단 음 정 : 2 도 , 3 도 , 6 도 , 7 도 여기서 반음 올라가면 장 2, 3 , 6, 7 도
  반음 내려가면 감 2, 3, 6 7 , 도
증음정 : 1, 2, 3, 4, 5, 6, 7, 8, 모두 일어날 수 있습니다 .
감음정 : 1, 2, 3, 4, 5, 6, 7, 8, 모두 일어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장 3 도에서 반음 늘면 증 3 도, 완전 4 도에서 반음 늘어나면 증 4 도, 장 6 도에서 반음 줄면 단 6 도, 단 6 도에서 또 반음이 줄면 감 6 도가되는 것입니다 .

♣ 음정을 세는 법 ...!!

우선 원음 끼리의 음정을 세어 봅니다 .
그런 다음 완전 음정인지 ( 1,4,5,8 ) 아니면 , 장 , 단 음정인지 ( 2,3,6,7 ) 를 씁니다 .
다음 문제의 예를 잘 살펴보세요

(* 괄호안을 마우스로 끌면 정답이 보입니다 . *)

( 장 3 도 )
도에서 미의 음정의 3 도입니다 .
따라서 완전 음정 ( 1,4,5,8 ) 이 아니므로 장이나 단음 정인데 도에서 미의 건반은 반음 사이가 없으므로 장 3 도가됩니다

( 단 3 도 )
레에서 파까지의 음정도 3 도이지만 미파사이에 검은 건반이 없어서 반음이됩니다 .
따라서 장 3 도보다 반음이 하나 짧습니다 . 따라서 단 3 도가 되곘지요 .

( 완전 4 도 )
음정은 4 도입니다 . 앞에서 완전 음정은 1 도 , 4 도 5 도, 8 도라 고했습니다 . ( 이것은 꼭 외우세요 ) 따라서 답은 완전 4 도가됩니다 .

* 이 이 는이 는이 는이 다음은 임시 표를 써서 실제의 거리가 줄거나 늘어난 경우입니다 . 임시표 (# , b 의 등 ) 를 써서 단음 정에서 반음 올라간 경우에는 장음 정이되며 , 반대로 장음 정에 임시표 (b)는 는는 는는 는는 는를 써서 반음 내려가면 단음 정이됩니다 .


( 단 3 도 )
임시표 (b)는 는는 는는 는는 는가 없다면 장 3 도이지만 임시 표로 실제의 간격이 줄어들 어서 , 거리는 3 도이지만 단 3 도 ( 반음 세 개 ) 됩니다 .

( 장 3 도 )
마찬가지로 3 도이지만 단 3 도에서 # 때문에 실제 음이 늘었으므로 장 3 도가됩니다 .

( 증 4 도 )
완전 음정에서는 절대로 장이나 단음 정으로 변할 수 없습니다 . 완전 음정 1 , 4, 5 , 8 도는 # 이나 b 을 써서 실제 음이 반음 늘어 나나 경우에는 " 을 "" " 반음 줄어든 경우에는을 증을 을합니다을 감이이라고 .

( 감 4 도 )
앞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완전 4 도에서 반음 줄어든 것으로 감 4 도로 표기합니다 .

( 증 4 도 )
예외 한가지 !
파에서 시까지는 4 도입니다 . 4 도는 완전 음정이지만 , 다른 4 도 ( 예 : 도 ~ 파 , 레 ~ 솔 , 라 ~ 레 ...) 의 경우에는 반음이 하나 꼭 들어가 있는데 파 ~ 시의 음정은 반음이없는 온음 끼리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따라서이 다른 4 도 음정과는 다르게 반음이 하나 많으므로 증 4 도라고 써야합니다하십시오 .

( 완전 4 도 ) ( 겹증 4 도 )
마찬가지로 (1 ) 4 도에서 반음 내려 왔기에을을 ( 장 , 단은 4 도에서 쓸 수 없지요 ?) 증 완전 4 도가되며은 ...
(2) 의 경우 원래 증 4 도에서 # 을 써서 반음 더 늘어 난 경우이므로 이때는 "을 " 이라고 표기합니다 겹증을을을을을을을 .

( 완전 5 도 )
음정은 5 도이며 ( 반음이 하나 있어야합니다 !)
1 , 4, 5 , 8 은 완전 음정이므로 완전 5 도로 표기합니다 .

( 감 5 도 ) ( 겹감 5 도 )
이 문제도 반음이시 , 도와 미 , 파가 2 개 들어간 경우입니다 .
다른도 ~ 솔 , 레 ~ 라 , ... , 파 ~ 도와 다르게시 ~ 파까지는 반음이 2 개나됩니다 . (1) 따라서이 음정은 반음 적은 5 도이므로 감 5 도가되며 ... 임시 표는 정보의 정보 는 B 의 제품을 써서 여기서 반음이 더 내려가면을을을을을 을 "5 도 " 를 가됩니다 겹감 .

( 완전 5 도 )
(1) # 을 써서 반대 반음 늘어 난다면 완전 5 도가의되면 번호을 두번한 더블샵 임시표 ( 엑스 ) 을 쓴다면 증 5 도가되는 것입니 다이로 .

( 장 6 도 )
다음은 6 도의 거리를 가진 음정입니다 .
솔 ~ 미까지는 6 도이며 시도에 반음이 하나 있으므로이 음정은 장음 정이됩니다 .

( 단 6 도 )
이음 정도 6 도이지만 반음이 2 개 ( 미파 , 시도 ) 있으므로 장 6 도 ( 반음 1 개 0 비해 반음이 적으므로 단 6 도로 표기해야합니다 .

( 증 6 도 ) ( 감 6 도 )
마찬가지로 (1 ) 2) 은 단 6 도에서 반음 내려온 것으로 감음정이됩니다이 은은를 앞의 장 6 반음 올라간 것으로 증음정이되고 도에서을 ( 앞의은 .
그렇다면 반대의 경우는 어떨까요 ?

( 단 6 도 ) ( 장 6 도 )
네 ...
(1 ) 6 도에서 b 을 써서 반음 줄어든 단 6 도이며 (2 ) # 을 써서 단 6 도에서 장 6 도가 된 것입니다는은 장 . 이해가 되십니까 ?

( 장 7 도 )
음정의 거리는 7 도 ...
반음은 미 ~ 파에 하나 있으므로 장 7 도가됩니다 .

( 단 7 도 )
반음이 미 ~ 파와시 도에 ~ 2 군데 있으므로 단 7 도입니다 .
이밖에도 레 ~ 미 , 솔 ~ 파 , 라 ~ 솔 ... 등은 모두 단 7 도가되는 경우 랍니다 .

♣ 조금 어려운 문제를 풀어 볼까요 ?

* 괄호를 마우스로 끌면 정답이 보여여 ~ ~ *

( 겹감 5 도 )
5 도이지만 시도 , 미파에 반음이 2 개있어 임시 표가 없어도 감 5 도가됩니다 .
그러나 시의 # 은도 ... 간격이 반음 줄어들었으므로 겹감 5 도가됩니다 .

( 장 6 도 )
라까지도 ~ 6 도 음정 ...
여섯 반음이 한 개이므로 도는 장음 정이나 단음 정인데 ( 도 ~ 라 ) 장 6 도입니다 . 그런데 도를 # # 라를해서 똑같이는 가 가 가가 가이 반음씩 올라가도 음정의 간격은 제자리 ... !
장 6 도가됩니다 .

( 겹증 4 도 )
솔에서 ~ 도는 완전 4 도!
솔에서 반음 내려가 간격이 반음 늘어서 증 4 도!
그런데도 음정도 간격이 반음 늘어서 겹증 4 도가됩니다 .

( 겹감 7 도 )
레에서 도는 7 도!
반음이 2 개이므로 단 7 도가됩니다 . 그런데 레를 반음 올려 간격이 반음 줄어들 어서 감 7 도가되는데 ...
도까지 반음 내렸으니 겹감 7 도가됩니다 .